[웹 개발 실무] 화면 설계서 작성하기


개발을 함에 있어서 JIRA와 같은 프로젝트 관리 및 협업툴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프로젝트 진행과정에서 산출되는 표준화에 근간을 둔 기획서의 작성 및 관리도 필요하다.

그래서 우리는 요구사항 정의서, 화면 설계서, 기능 정의서, API 명세서 등 기획서를 작성하며,

이 중에서 프론트엔드 기획 시에는 화면 설계서를 작성하는 것이 필수이다.

자 그러면 화면 설계서 상에는 어떤 것이 들어가는지 한번 살펴보자.

글 작성 내용 참고 링크

표지


표지를 통해 기획서의 명칭을 정의하고 기획서의 버전(Version), 작성일자, 작성자 정보 등을 기록한다.

아울러 문서의 보안성 정도에 따라 보안의 단계나 열람권한 등을 표기하기도 한다.

History


우리가 작성하는 화면설계서 또는 스토리보드는 필연적으로 고객, 사수, 팀장, 오너 또는 기획자 본인의 필요에 의해 수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문서의 업데이트 내역이 관리되지 않는다면, 어떤 내용이 수정되었는지 기획자 본인은 물론 디자인/퍼블리싱/개발을 위해 문서를 보는 작업자들도 알 수가 없다.

이를 위해 업데이트 기록을 관리하는 History 양식이 존재하며 버전, 업데이트 날짜, 변경 또는 추가된 내용, 해당 변경이 적용된 페이지, 작성자 정보를 기록한다.

서비스 개요


기획자가 만드는 모든 문서에는 주제적 관점에 기인한 목적성이 있어야 한다.

기획서를 왜 작성했고 무엇을 지향하고 있는지를 정의해줘야 기획서 본연의 존재감이 생기게 됩니다.

이를 위해서는 아래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기획배경과 목적, 기획을 통해 얻고자 하는 기대효과, 기획에서 고려된 주요 기능요약, 기타 전달해야 할 이슈를 정의해줘야 한다.

서비스 개요


User Flow


아래 그림을 보면 각 단계로 구분된 표와 표 안에 논리 프로세스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문서를 통해 단위 서비스 별로 고객의 이용 흐름을 도식화함으로써 한 눈에 서비스의 시작과 종료까지의 전 과정을 파악할 수 있다.

서비스의 규모에 따라 통상 1개 이상의 User flow가 존재하는데, 만일 서비스를 도식화하는 과정이 생략된다면 세부 UI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흐름이 누락될 수도 있다.

또한 개발 시 전제 구조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

유저 플로우


Logic process


앞선 User flow에서 단위 서비스의 단계 별 흐름을 개략적으로 정의했다면 Logic process는 단계 별로 상세한 흐름을 정의하는 문서이다.

이를 통해 정보의 수집이나 사용, 상황 별 논리적 대처방안을 정리하게 된다.

해당 문서는 개발 시 참고하는 내용이며, 개발 완료 후 서비스 검증을 위한 QA(Quality Assurance)과정에서도 사용된다.

경험이 부족한 개발자는 잘못 설계된 Logic process 그대로 개발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보다 꼼꼼한 작성을 요하는 문서다.

로직 프로세스


UI 설계 양식


어찌보면 가장 하이라이트.

UI를 어떻게 나타낼지 설계하는 문서이다.

피그마로도 작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대략적인 유저 플로우도 작성할 수 있게 된다.

UI설계



© 2022.07. by Wookey_Kim

Powered by Hydejack v7.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