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웹앱의 작동 그리고 웹 브라우저

웹 페이지를 로드하는 과정.

가끔 인터넷 연결 환경이 좋지 않으면 웹 페이지가 깨져서(?) 로드되는 경우가 있고, 심지어 클릭해도 버튼이 눌리지 않는 경우가 있었는데 웹 페이지를 로드하는 과정이 아래와 같기 때문이었다.


  1. 주소창에 페이지를 입력해서 서버에 로드를 요청한다.
  2. 서버에서 응답하여 HTML파일을 송신한다.
  3. 페이지를 구성하는 파일(JS, 웹 이미지, CSS 등)을 추가 요청한다.
  4. 서버에서 추가 응답하여 페이지 구성파일을 전송한다.
  5. 사용자 컴퓨터의 브라우저에서 렌더링한다.

HTML은 다른 파일들에 비해서 비교적 용량이 적기 때문에 먼저 로드되고, 인터넷 환경이 좋지 않으면 용량이 큰 파일들(특히 이미지)이 로드되기 힘들기 때문에 HTML만 로드한 채로 브라우저 뷰포트에 창이 띄워지는 것같다.
가끔가다 짜증나다가도 은근 궁금했었는데 이런 이유였나..

웹 표준

웹에서 사용되는 표준 기술이나 규칙을 의미한다.
W3C라는 표준화 제정 단체에서 지정한다.

크로스 브라우징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구글의 크롬, MS의 엣지 등 웹 브라우저는 종류가 많다. 하지만 같은 기능이라고 해도 각 브라우저에서 동작하는 방식이 달라지면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조금은 다른 브라우저에서 동일한 기능과 동일한 출력을 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을 크로스 브라우징 이라고한다.

웹 브라우저의 구성

웹 브라우저 구성
대표적으로 위와 같다. 뷰포트에다가 탭, 주소창,기능 버튼을 모두 포함하면 창(Window)이 되는 것이었더라..
난 여태까지 뷰포트를 윈도우로 잘못 알고 있었다.

웹 브라우저의 종류

대표적인 웹 브라우저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 구글 : 크롬
  • MS : MS Edge, IE(서비스 지원 종료)
  • 네이버 : 웨일
  • 줌 인터넷 : 스윙
  • 모질라재단 : 파이어폭스
  • 오페라 소프트웨어 : 오페라
  • 애플 : 사파리

© 2022.07. by Wookey_Kim

Powered by Hydejack v7.5.2